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이클론 C언어 강의] 기초 프로그래밍 1 (1-2-2)

by 후치 네드발 2020. 12. 16.
반응형

1. 컴파일

컴파일은 프로그램 작성이 완료되면 실행 프로그램으로 변환하기 위해 거치는 작업입니다. 필자는 Dev-C++를 기준으로, 컴파일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Dev-C++ 에서는 상단의 메뉴바에서 실행->컴파일을 누르면 컴파일이 되나, 간단하게 F9을 누르면 컴파일이 됩니다. 또한 컴파일후 바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축키인 F11도 있습니다.

 

2. 주석

 주석은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존재입니다. 주석이라는 것은 코드에 언급(comment)을 한다는 의미로 해당 코드에 관한 설명 또는 정보 등을 주로 삽입합니다. 주석이 없으면 짧은 코드는 이해하기 쉬울지 몰라도, 1,000줄이 넘어가는 코드는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 입니다. 또한 아무리 자신이 직접 코딩한 프로그램이라 해도 긴 시간이 지나고 나서 다시 주석 없이 작성된 그 코드를 본다면 주석을 달지 않은것에 대하여 후회를 할 것입니다.

 자, 이제 주석에 대하여 간략히 알았기 때문에 주석이 어떤식으로 사용을 하는지 예제를 하나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와같이 주석은 여러줄에 걸쳐서 사용하는 주석과 한줄만 사용하는 주석이 있습니다.

/* 으로 시작해서 */ 으로 끝나는 주석은 보신바와 같이 여러줄에 걸쳐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는 잘못된 사용방법 입니다.

 

 

 

 

앞의 /*은 주석의 시작으로 인식하지만, 두번째로 오는 /*은 주석의 시작이 아닌 일반 주석(comment)로 인식하며, 뒤에 오는 */는 주석의 종료로 인식하며 그 뒤로 작성된 */ 은 의미 없는 문장으로 해석되어 컴파일에 오류가 생깁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는 허용이 됩니다.

 

 

주석을 사용하는데에 주의할 점은 한가지가 더 있습니다. 위의 example.c 코드처럼 너무 주석으로 도배를 하게 되면 오히려 프로그램이 지저분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석은 적절한 곳에 적절한 용도로 사용되는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3. 출력함수

 우리는 아까 주석에 대하여 설명할때도 언급을 했었던 printf 함수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이전에는 단순히 문자열을 전달받아 문자열을 출력하는 용도로만 사용하였으나 이는 이보다 더 많은 기능이 존재합니다. 다음의 예제를 살표보도록 합시다.

 

 

한번 보고 직접 코딩해 보기 바랍니다.

 

이처럼 printf 함수는 두 정수의 사칙연산도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전과 보았던 printf 함수의 구조와는 다른것이 보일것 입니다. 

큰 따옴표 ""안에는 문자열이 적혀있고 그 뒤로는 정수의 덧셈식이 들어가 있습니다. 여기서 특이한 점은 %d의 사용인데 이는 서식 문자(conversion specifier)라고 하며 %d를 그대로 출력하는 뜻이 아니라 출력 대상의 형태를 지정하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그 출력 대상의 형태는 10+15 이며 컴파일 과정에서 계산을 거쳐 25라는 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하지만 출력 대상의 형태가 여러개가 존재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컴파일 결과를 보아 예상하셨겠듯이 %d의 출력 대상은 순서대로 지정합니다.

 

printf 함수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마 대부분의 독자들은 저 결과에 대하여 만족스럽지 못할 것 입니다. 아마 독자들은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는것을 원하셨을 겁니다.

10 더하기 15는? 25

22 더하기 11는? 33

이렇게 줄바꿈이 되어서 표시가 되는것을 바라셨을겁니다. 그럼 위와 같은 코드를 다음과 같은 코드로 바꿔 본 다음에 컴파일을 해봅시다.

 

문장의 끝에 \n를 하나 넣었을 뿐인데 컴파일에 큰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이는 컴파일 결과를 보시는 바와 같이 줄바꿈을 실행하는 문자입니다. 이와 같은 문자를 제어 문자(control character)라고 합니다.

 

 

 

학습내용)우리는 주석의 사용법에 대해 알았고, 출력함수에 대하여 공부했습니다.

 

하도 3줄요약 좋아해서 너무 길게 적으면 안읽을까봐 짧고 굵게 강좌 하고있어! 

근데 저번에 누가 댓글로 너무 짧다고 지적했었는데 ㅜㅜ.. 그래서 이번강좌는 '조금' 길게 써봤어!

그리고 강좌 읽어주는 여러분께 매번 감사하다는말을 하고싶어!

아 마지막으로 이 강좌는 내 블로그에 올림과 동시에 읽게에도 올리고있는데

한번씩 블로그도 들려주라! 블로그에는 그림까지 넣어서 더 상세하게 강좌하니까.. 힝

반응형